(양산=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제12회 경남 양산 원동매화축제가 주말인 17·18일 원동매화마을 일원에서 펼쳐진다. 이 축제에선 낙동강 기찻길을 따라 화사한 자태를 뽐내는 연분홍빛 매화가 장관이다. 개막식은 17일 오후 2시 양산시 원동면 원동로 쌍포매실다목적광장에서 열린다. 매화군락지인 영포 매화언덕길 걷기와 원동마을 둑길 걷기가 대표 프로그램이다. 아름다운 매화길을 따라 ‘인생사진’을 담을 수 있는 포토존이 수두룩하다. 행사 기간에는 봄바람 콘서트, 매화향 콘서트, 원동거리 퍼포먼스, 원동역 작은음악회, 시민프리마켓, 원동 특산물 장터, 매화언덕 버스킹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선보인다. 원동매화축제추진위원회는 “지난 겨울 혹한으로 개화시기가 다소 늦어졌지만, 현재는 대부분 매화가 활짝 폈다”고 말했다. 이번 주말에는 날씨도 좋아 철길과 매화가 만들어내는 풍광과 꽃향기에 취할 수 있을 것으로 축제추진위원회는 기대했다. 양산시는 관광객 편의를 위해 원동역 경유 열차를 증편하고 셔틀버스 무료 운행, 대규모 임시 주차장 마련 등 손님맞이 준비를 했다. 그리고 올해 말 육군의 지상작전사령부 예하에 편성될 ‘드론봇 전투단’을 포함해 해·공군의 드론봇 개발 예산도 내년도 국방예산안에 처음 반영될 것으로 관측된다. 주변국 위협 대비 명목으로 검토되는 핵 추진 잠수함 개발 또는 구매 예산이 내년도 예산안에 편성됐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이는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의욕을 보이는 사업 가운데 하나이다. 현재 고려되는 한국형 핵 추진 잠수함은 프랑스 루비급(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국내 유일의 상장 인프라펀드인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맥쿼리인프라· 송고’주주행동주의’ 표방 플랫폼 표대결서 밀려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김진방 특파원 = 올해 북중 정상 간 세 차례 회동으로 양국 관계가 밀접해지는 가운데 북한에서 해산물을 마음껏 먹고 오자는 당일치기 초저가 여행 등 북한 관광이 최근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북한 송고 The “International Robotics Industry Exhibition” to be held in Hall 2 of KINTEX Exhibition Center 1 will serve as a venue for the robotics business. Over 200 companies from 20 countries will operate 500 booths to show their industrial robots, service robots, robot parts, smart manufacturing solutions, smart application and software, and drones. OUELH는 Bowsprit의 나머지 지분 40%와 Frist REIT 총 발행 주식 중 10.63%을 인수하겠다고 발표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2018년 9월 18일자 OUELH 발표를 참조한다. 남북정상, 9월 평양공동선언 합의문 서명하고 교환 / 연합뉴스 (Yonhapnews) (평양·서울=연합뉴스) 평양공동취재단 이정진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9일 채택한 ‘9월 평양공동선언’은 한반도에 확고한 평화와 번영을 가져오기 위한 다양한 조항들로 채워졌다. 양 정상은 4월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첫 정상회담에서 그동안 단절됐던 남북관계를 정상화하는 데 집중했다면, 이번 회담을 통해서는 남북관계를 되돌릴 수 없는 수준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과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 양대 축은 군사적 긴장 완화와 경제협력이다. 4·27 판문점선언에 담긴 합의사항들이 보다 구체화했다. 평양공동선언에는 ‘비무장지대(DMZ)를 비롯한 대치지역에서의 군사적 적대관계 종식을 한반도 전 지역에서의 실질적인 전쟁위험 제거와 근본적인 적대관계 해소로 이어나가기로 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남북은 판문점선언 이후 각종 군사회담을 통해 DMZ를 비롯한 남북 접경지역에서의 대치 상황을 줄이는 데 주력했는데, 남북군사공동위 가동 등을 통해 평화의 기운을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하겠다는 것이다.(도쿄=연합뉴스) 김정선 특파원 = 일본내 간병인력 양성학교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이 2배 가까이 늘었다고 교도통신이 18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공익사단법인 ‘일본개호복지사양성시설협회’가 올해 4월 일본내 간병인력 양성 전문학교와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을 집계한 결과 총 1천142명으로, 지난해 591명에서 2배 가까이 늘었다. 출신국을 살펴보면 베트남이 54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 167명, 네팔 95명, 인도네시아 70명, 필리핀 68명 등의 순이었다. (부천=연합뉴스) 최은지 기자 = 한 프랜차이즈 편의점 지점이 아르바이트생 채용 공고를 올리면서 특정 지역 출신은 배제한다는 내용을 넣어 논란이 일고 있다. 19일 인터넷 커뮤니티와 맘카페 등에 올라온 경기도 부천 한 편의점 채용 공고에는 ‘주민등록번호 중 8·9번째 숫자가 48∼66 사이에 해당하시는 분은 죄송합니다만 채용 어렵습니다’라는 내용이 들어갔다.IT/과학 본문배너 또 ‘가족 구성원이 해당할 경우 채용이 어렵다’고도 명시했다. 주민등록번호의 해당 숫자는 출생신고를 한 지역을 의미하는데 48∼66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를 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사실이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퍼지면서 논란을 불러일으키자 이 공고는 뒤늦게 삭제됐다. 고객 민원을 받은 해당 프랜차이즈 본사 측은 공고를 낸 점주를 면담하고 비슷한 사례가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파리=연합뉴스) 김용래 특파원 = 프랑스 남부의 님에서 한밤에 괴한이 차를 몰고 주점으로 돌진해 시민 송고통일부, 김양건 발언 관련해 “북한 태도 면밀히 주시”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 정부는 북한이 일방적으로 개정한 개성공단 노동규정 문제를 당국간 협의를 통해 해결하자고 제안할 방침이다.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송고창업자 중 여성 비율 13%…”고위직·기술직에 특히 적어”(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미국 스타트업 업계에서 일하는 여성들이 가진 회사 지분율이 남성 직원의 47%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전직 트위터 부사장이자 여성 스타트업 투자자 모임 ‘#에인절스’의 대표 클로이 슬래든은 미국의 스타트업 창업지원 업체 ‘카르타’를 통해 창업한 스타트업 6천여곳의 임직원 약 18만명을 분석해 이런 통계를 내놨다.(하노이=연합뉴스) 민영규 특파원 = 현지인 재소자를 집단 폭행해 숨지게 한 베트남 교도관 5명에게 최고 징역 7년의 중형이 선고됐다. 남측 예술단은 지난 4월 평양 공연 때 한 번은 1천500석 규모 동평양대극장에서 단독공연을, 두 번째는 1만2천여석 규모 류경정주영체육관에서 합동공연을 펼쳤다. 앞서 10여년간 가로막힌 남북 문화예술 교류의 물꼬를 튼 지난 1월 북한 삼지연관현악단 방남 공연도 900여석 강릉아트센터와 1천500여석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두 차례 열렸다. 도 장관은 지난주 한중일 스포츠장관회의 참석차 도쿄를 방문해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평양예술단 공연도 서울과 지방에서 한 차례씩 두 차례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문체부는 이번 남북정상회담 전에 북측에 10월 중 공연이 가능한 수도권과 지방 도시 공연장 리스트를 전달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정수일 한국문명교류연구소장에게 아프리카는 문명에 대한 눈을 뜨게 해준 특별한 땅이다. 중국 연변 출신인 정 소장은 1955년 중국 국비연구생 신분으로 이집트 카이로로 떠났다. 이후 모로코 주재 중국대사관에서 일했고, 튀니지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0년 이후 실크로드와 라틴아메리카 답사기를 펴낸 그가 이번에는 두툼한 책 2권으로 구성된 ‘문명의 요람 아프리카를 가다’를 출간했다. 연구소 회원들과 함께한 답사 내용을 바탕으로 오래전 추억과 문명사 지식을 버무려 서술했다. 예컨대 대학생 때 여름캠프에 참여한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과거와 현재를 논하고, 모로코 국왕 앞에서 중국어 통역을 하면서 겪은 경험을 정리했다. 정 소장은 출판사 창비가 11일 마련한 간담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프리카는 고대 문명의 요람이자 서구 식민주의자들의 능욕을 가장 많이, 가장 오래, 가장 뼈저리게 받은 곳”이라며 “아프리카를 위한 설욕은 인류를 위한 설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프리카는 대륙 전체가 식민지화한 유일한 지역”이라며 수백 년간 지속한 부조리를 파헤치고자 했다고 말했다. 정 소장은 “유학을 하면서 아프리카 해방 투쟁 1세대와 많이 접촉했는데, 이들의 주된 관심사가 아프리카의 미래였다”며 “아프리카에서 추진한 사회주의의 허와 실을 분석하는 것도 저술 목적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본주의와 함께 양대 이데올로기라고 할 수 있는 사회주의가 제3세계에서 가진 의미와 보편성을 학술적으로 연구하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중국이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대해 “중국이 아프리카에 주는 것은 적고 가져가는 것은 많다”며 “아프리카는 현재 중국을 상당히 경계한다”고 우려했다. (방콕=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말레이시아 신정부가 배임과 반부패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나집 라작 전 총리의 해외 은닉자산 환수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비자금 조성 통로인 국영투자기업 1MDB의 해외 자산이 처음으로 반환된다. 11일 일간 더 스트레이츠타임스 등 보도에 따르면 싱가포르 법원은 전날 1MDB 비자금 스캔들 수사 과정에서 압수한 1천530만 싱가포르 달러(약 125억원)를 말레이시아에 반환하라고 결정했다. 1MDB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탄 라자 앤드 치아는 “반환되는 자금은 1MDB와 옛 자회사인 SRC 인터내셔널이 보유했던 다양한 종류의 현금으로 말레이시아 정부가 개설한 1MDB 자금 환수 특별 계정으로 송금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탄 라자 앤드 치아는 이어 “유용된 다른 자산을 회수하기 위해 증거를 수집하고 목격자를 추적하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환 결정이 내려진 자금은 나집 전 총리가 1MDB를 통해 빼돌린 것으로 추정되는 전체 자금 45억 달러(약 5조 원)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작년 감사보고서에서 외부 회계감사인의 의견거절·감사범위 제한 등을 받아 상장폐지 대상이 됐던 코스닥 15개 법인 가운데 12곳이 한국거래소의 ‘조건부 상장폐지’ 결정을 받았다. 나머지 3곳은 ‘적정’ 의견을 포함한 재감사보고서를 제출해 증시 퇴출 위기를 모면했다. 거래소는 19일 기업심사위원회 회의 결과 우성아이비[194610], 엠벤처투자[019590], 넥스지[081970], 에프티이앤이[065160], 감마누[192410], 지디[155960], 트레이스[052290], C&S자산관리[032040], 위너지스[026260], 모다[149940], 레이젠[047440], 파티게임즈[194510] 등 12개사의 ‘조건부 상장폐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앞서 외부 감사인으로부터 감사의견 범위제한을 받아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으며 이날 현재도 재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거래소는 설명했다. 12개사 가운데 파티게임즈를 제외한 11개사는 마지막 기한인 21일까지도 ‘적정’ 의견을 포함한 재감사보고서를 내지 못하면 상장폐지가 확정된다. 상장폐지가 확정된 기업은 27일 상장폐지 사실이 공시되고, 그다음 날인 28일부터 다음 달 10일까지(7거래일) 정리매매 후에 최종 상장 폐지된다. 파티게임즈는 회계감사인이 28일까지 재감사보고서를 제출하겠다는 확인서를 보내와 조건부 상장폐지 일정을 28일까지로 유예했다고 거래소는 설명했다. 한편 수성[084180], 한솔인티큐브[070590], 디에스케이[109740]는 이날 재감사보고서를 제출해 상장을 유지했다. 이에 따라 한솔인티큐브와 디에스케이는 20일부터 바로 거래가 재개된다. 수성은 감사의견 외에도 또 다른 상장폐지 사유인 ‘횡령·배임 혐의’가 발생한 상태여서, 이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거래정지를 계속한다고 거래소는 덧붙였다.
비핵화와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큰 주문은 곳곳에서 나오고 있기에, 그것 외에 잊지 말았으면 하는 당부를 하나 덧붙이고 싶다. 금융위는 대신 클라우드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먼저 기존 보호조치에 송고 대만 빈과일보는 송고(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미국과 중국간 사상 최대 규모의 무역전쟁이 벌어지는 가운데 대만 정부와 기업은 대책수립에 부심하고 있다.北, 통지문 처음으로 수령…태도변화 여부 주목(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정부는 송고 또한, 에어비퀴티는 커넥티드 및 자율 차량을 위한 견고한 엔드투엔드 및 미래에도 사용할 수 있는 사이버보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세이프라이드 브이센트리(SafeRide vSentry™) 다층 사이버보안 솔루션과 OTA매틱 데이터관리 및 엣지 분석 모듈의 통합을 시연할 예정이다. 세이프라이드 브이센트리는 차량 보안을 실시간으로 안정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취약점을 발견할 수 있는 AI(인공지능)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활용해 결정적이고 휴리스틱한 사이버 위협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OTA매틱의 데이터 에이전트에서 실행되는 브이센트리 이상 탐지모듈이 새로운 취약성을 악용하는 차량 사이버 공격을 탐지하면 해당 시스템은 에어비퀴티의 OTA매틱 서비스에 경고 알림을 전송해 차량 자산 및 탑승자 보호 시스템을 복원하고 취약점을 개선하기에 적절한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전송 및 설치한다. 송고’미투’ 유명인 첫 실형…”권력 복종할 수밖에 없는 피해자 처지 이용”8명에 18차례 상습추행 인정…”미투 운동에 용기 얻은 피해자들 증언 신빙성 커” (베를린=연합뉴스) 이광빈 특파원 = 남북 교류의 물꼬가 트이기 시작하는 가운데, 양측 언론교류도 본격적으로 논의 선상에 오를 전망이다. 13일 문재인 대통령과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원로자문단의 청와대 오찬에서 자문단장인 임동원 한반도평화포럼 공동이사장이 “남북 언론의 교류가 중요하다”고 말해 현재 정체된 언론교류 분야에도 불씨를 지필지 주목된다. 특히 임 이사장은 “남과 북의 통신사가 서로의 건물에 들어가 상주하며 활동을 하도록 하자”고 말했다. 임 이사장의 이런 언급은 뉴스통신사 교류가 독일 통일 전 동서독 간 언론교류의 시발점이었다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동서독의 경우 1972년 11월에 체결된 ‘동서독 언론교류 관련 합의문서’에 따라 뉴스통신사 간 특파원의 상호 파견으로 언론교류의 문이 처음 열렸다. 암 사망률을 종류별로 구분하면 폐암(35.1명), 간암(20.9명), 대장암(17.1명), 위암(15.7명), 췌장암(11.3명) 순으로 높았다. 작년 한국인 사망원인 2위는 심장질환(사망자 3만852명, 구성비 10.8%)이었고 뇌혈관질환(2만2천745명, 8.0%), 폐렴(1만9천378명, 6.8%), 자살(1만2천463명, 4.4%), 당뇨병(9천184명, 3.2%), 간 질환(6천797명, 2.4%), 만성 하기도질환(6천750명, 2.4%), 고혈압성 질환(5천775명, 2.0%), 운수 사고(5천28명, 1.8%)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 폐렴은 작년에 사망자 수와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37.8명)이 통계작성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폐렴은 2004년에는 사망원인 순위 10위였으나 꾸준히 순위가 상승해 2015년부터 4위를 유지하고 있다. 당국은 고령화의 영향으로 폐렴으로 인한 노인 사망자가 늘어난 결과라고 분석했다. 백두산은 북측 지역뿐만 아니라 남측 지역에서도 ‘민족의 명산’으로 인정받아 왔지만 북한은 백두산을 김일성 주석의 항일 빨치산 투쟁의 근거지이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태어난 ‘혁명의 성지’로 선전해 왔다. 김 위원장 개인에게도 백두산은 정치적으로 각별한 의미가 있는 곳이다.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2011년 말 정권을 잡은 김 위원장은 중대 결심이 이뤄지는 고비 때마다 백두산을 찾았다. 집권 후 가장 먼저 백두산을 찾은 것은 2013년 11월 말인데, 곧이어 12월 초 고모부인 장성택에 대한 숙청 작업이 이뤄졌다. 김정일 위원장 사망 후 ‘3년 탈상’을 앞둔 2014년 11월 말에도 김 위원장은 백두산 천지까지 직접 올랐고 2015년 1월 1일 신년사로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내보이며 정상회담 개최 용의까지 피력했다. 연방하원 연설…”무슬림·유대인도 우리 사회의 일부”EU 회원국 상대로 난민 문제 연대 촉구시리아서 화학무기 사용 시 군사개입 가능성 열어놔’미투’ 유명인 첫 실형…”권력 복종할 수밖에 없는 피해자 처지 이용”8명에 18차례 상습추행 인정…”미투 운동에 용기 얻은 피해자들 증언 신빙성 커” ◇ “비핵화·제재 해제가 전제…조사·연구는 그 전에도 가능” 남북은 평양 선언에 담긴 경협 구상을 추진하기 위해 최근 문을 연 공동연락사무소를 활용해 실무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적으로는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나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같은 과거의 경협 협의채널이 재가동될 가능성도 있다. 공동연락사무소에는 기획재정부 또는 국토교통부의 실무자도 파견될 예정이다. 철도와 도로 연결은 연내 착공식을 한다는 일정까지 나왔기 때문에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개성공단 정상화나 관광 분야 협력 등은 북한의 비핵화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가 선행되어야 가능하다. 다만 이런 선행 요건이 충족되기 전이라도 남북이 청사진을 그리는 작업은 추진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경협을 위한 현지조사, 공동연구, 사업계획 수립 등은 제재 해제 전이라도 어느 정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이 과정에서 필요한 부분에 관해서는 미국 측과 협의할 것이다”고 말했다. 장기적으로 한반도 정세가 개선하고 북미 관계 정상화가 가시화되면 북한 개발을 위한 논의에도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날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남북 경협 구상에 관해 “국제사회의 협력도 필요하고 북한 제재에 관한 문제가 선행되어야 한다. 차분하고 질서 있게 준비하겠다”면서도 “여건이 조성되면 남북 경제협력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경협 과정에서 중국 등 주변국을 참여시키거나 국제기구의 도움을 받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다른 정부 관계자는 “주변 강국뿐만 아니라 국제기구가 경협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며 “이들은 북한 개발을 위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개발 자금을 지원할 능력도 있다”고 설명했다. 송고
(브뤼셀=연합뉴스) 김병수 특파원 = 유럽연합(EU)의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18일 독일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BMW와 다임러, 폴크스바겐 그룹이 자동차 배기가스를 줄이는 기술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거나 출시하지 않기로 불법 담합한 의혹이 있다며 이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한국 보다 두배 높은 시급 등 매력(서울=연합뉴스) 성연재 기자 = 사람 보다 양이 더 많은 나라. 짙푸른 초원 위에 하얀 양 떼가 그림 같은 나라. 멸종 위기에 놓인, 날지 못하는 새 ‘키위’와 특산품인 과일 ‘키위’ 덕분에 키위라는 애칭을 얻은 뉴질랜드.WP “시카고 경찰, 2010년 이후 살인사건 용의자 체포율 27%”‘사망자 없는 총격사건’ 용의자 체포율 한자릿수(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통신원 = 미국 시카고 번화가에 관광객과 쇼핑객들이 바쁘게 돌아다니고 교외 주민들은 평화로운 일상을 보내는 시간, 도시 남부와 서부 빈민가에서 하루 평균 10명이 총에 맞아 2명이 숨진다. 더 이해하기 어려운 일은, 제한된 지역에서 총격이 그렇게 빈발하는데도 총 쏜 용의자가 잡히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31일(현지시간) “아무도 붙잡히지 않는다. 경찰은 아무것도 해결하려 들지 않는다”는 제하의 기사에서 지난달 시카고 남부에서 참담한 총기 사고를 당한 디앤젤로 노우드(30)의 사연과 함께 시카고 빈민가의 치안 부재 실태를 전했다. 노우드는 지난달 30일 한 주류 가게에서 형 오머(35)와 같이 총격을 받았다. 노우드는 배·가슴·팔목 등에 총상을 입고 입원했다가 치료를 받고 퇴원했으나, 머리와 가슴에 총을 맞은 형은 현장에서 숨졌다. 그는 “형 지인들을 우연히 만났는데 시비가 오가다 한 사람이 총을 꺼내 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입원한 지 사흘 만에 형사가 찾아와 사진 한 장을 내밀며 ‘총 쏜 사람이 맞는지’ 물었다. 그런데 나는 그를 모르고, 사건 당시 본 얼굴도 제대로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곳에서 이런 일은 일상”이라며 “형사들은 이제 전화도 없다. 한 달이 지났지만 용의자는 잡히지 않았다”고 개탄했다. 노우드 형제는 총기 폭력이 전염병처럼 만연한 시카고의 또다른 사건 피해자들일 뿐이다. 올들어 지금까지 시카고에서 최소 2천68명이 총에 맞아 331명이 숨지고 1천737명이 부상했다. 총기 외 폭력을 포함하면 살인사건 피해자는 388명에 달한다. 신문은 미국 어느 도시도 이 정도는 아니라며 “그런데도 이곳에서 대다수 살인사건이 미결 처리되며, 사망자 없는 총격 사건의 경우엔 수사조차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내부자료를 인용, “2010년 이후 지금까지 시카고 경찰은 살인사건 용의자의 27%를 검거했을 뿐”이라며 미국 50개 대도시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라고 전했다. 시카고대학 범죄연구소에 따르면 사망자 없는 총격 사건의 경우 시카고 경찰의 용의자 체포율은 한자릿수로 내려간다. 특히 그 숫자는 2014년 10%에서 2015년 7%, 2016년 5%로 점점 더 떨어졌다. 신문은 “다른 도시도 패턴이 크게 다르지 않다”며 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의 경우 2013년 이후 살인사건 용의자 체포율은 71%에 달하나 사망자 없는 총격 사건 용의자 체포율은 30%대로 떨어진다고 전했다. 네브래스카 주 오마하의 경우 2016년부터 2017년 사이 살인사건 용의자 체포율 67%, 사망자 없는 총격 사건 용의자 체포율은 18%였다. 시카고 경찰은 “용의자 체포율이 눈에 띄게 개선되고 있다”면서 “살인사건 용의자 체포율이 지난해 33%에서 올해 44%로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시카고 경찰청 대변인은 “문제 해결을 위해 상당한 투자를 해왔다”며 올 연말까지 살인사건 전담 수사관 300명을 추가 고용(1천2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폭력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소수계 사회가 경찰에 협조하지 않아 용의자 체포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입장이다. 실제 주민들은 사건을 목격하고도 보복이 두려워 신고를 하지 못하고, 피해자는 범죄 연루 가능성이 드러날까 신고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동시에 주민들은 “범죄에 속수무책이고 끼워 맞추기식 수사를 하는 경찰을 신뢰하기 어렵다”며 “자경단을 활성화하는 편이 낫겠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하노이=연합뉴스) 민영규 특파원 = 중국에 이어 베트남도 폐기물 수입을 사실상 제한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 19일 일간 베트남 뉴스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는 지난 17일 각 부처에 폐기물 수입에 관한 긴급조치를 지시했다. 폐기물 수입 자격증 신규 발급을 중단하고 위탁수입 업체 등에 대한 자격증 유효기간을 연장하지 못 하도록 했다. 또 환경기준을 충족하는 업체에 대해서만 폐기물 수입 허가 여부를 검토하고 폐기물 수입과 거래, 활용 등에 대한 감시를 대폭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푹 총리는 또 “규정을 어기고 베트남으로 들여온 폐기물은 반드시 다시 내보내고 범법자를 엄벌하라”고 명령했다. 중국이 올해부터 폐플라스틱 등 고체폐기물 24종의 수입을 제한함에 따라 베트남의 폐기물 수입이 급증, 지난 5월까지 들어온 금속 폐기물만 200만t을 넘어섰다. 특히 폐플라스틱 수입은 지난해 전체 수입량과 비교해서도 200% 이상 급증했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아 중국 수출 기업들이 위기에 몰릴 경우 중국 정부가 대규모 외자 유출과 외환보유액 감소까지 감수하면서 위안화를 큰 폭으로 평가절하하는 ‘극약 처방’을 쓸 수도 있다는 일각의 예상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또 미국이 지식재산권 문제를 대중공세의 주요 명분으로 삼는 것과 관련해 리 총리는 지식재산권을 엄격히 보호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그는 “중국은 지식재산권을 존중하는 환경을 구축하지 않는다면 창조적인 발전을 이룰 수 없다”고 강조했다. 통화정책과 관련해서 그는 시스템 위기를 방지하기 위한 디레버리징(부채감축) 정책을 지속하는 가운데서도 예방적인 미세조정을 통해 실물경제 부문에 유동성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 총리는 “현재 연못에 물이 결코 적은 것이 아닌데 문제는 어떻게 물길을 내주느냐에 있다”며 “시스템을 정비해 실물경제로 유동성이 흘러갈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중국 정부는 올해 들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자금이 효율적으로 지원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을 펴고 있다. 올해 인민은행은 송고하계 다보스포럼서 다자주의·자유무역 강조…”위안화 인위적 절하 없다”‘민영기업 퇴출론’ 논란 속 “민영기업 지지 변함없다” 선언 2. 목표 오쿠마는 한국에서 고객 기반을 확장하고자 마케팅, 적용 지원 및 판매 후 서비스를 향상시킬 계획이다. – 최첨단 장비를 통해 적용 지원과 지역 테스트-컷 역량 강화 – 기계 작동 훈련 개선 – 완전한 서비스 부품 재고를 바탕으로 신속한 판매 후 서비스 (광주=연합뉴스) 전성옥 논설주간 = “흔히 ‘북한미술은 선전이 목적이어서 예술성이 없다’고 말합니다. 북한을 바라보는 외부세계의 편견일 따름입니다. 이런 고정관념에서 출장여대생 벗어나야 북한미술의 독창적인 예술성이 보입니다.” ‘2018 광주비엔날레'(9월 7일~11월 11일)에서 ‘북한미술 : 사실주의의 패러독스’ 전(展)을 기획한 문범강(63) 미국 조지타운대 교수는 특유의 기법을 탐구하고 발전시켜 온 북한미술이 ‘사회주의 사실주의’ 예술 사조에서 독보적인 위상에 올라 있다고 평한다. 문 교수는 ‘조선화는 한국화를 일컫는 북한말’이라는 국어사전의 정의부터 틀렸다고 말한다. 표현기법 면에서 한국화는 조선화가 될 수 없으며, 조선화는 결코 한국화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그는 “수묵채색화인 조선화는 동양화의 틀을 깨고 나와 섬세한 묘사와 다양한 표현법으로 독창적인 미학을 성취했다”면서 “입체감, 특히 인물화의 표정에 나타난 3D 효과는 조선화만의 특징이며 조선화가 이룩한 독보적 경지”라고 평가한다. (서울=연합뉴스) 최선영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합의 발표된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미국이 우려하는 미사일 시설 폐기에 대한 검증을 수용하는 결단을 내린 것은 교착에 빠진 북미 협상을 되살리려는 의지로 보인다. 미국이 요구해온 핵리스트 신고를 수용하지는 않았지만, 미국이 마냥 외면하기 어려운 검증 조처를 함으로써 교착 국면의 북미 협상을 돌파하려는 의도라는 분석도 나온다. 평양공동선언 5조 1항에 “북측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하에 우선 영구적으로 폐지하기로 하였다”고 명시한 것은 비핵화 전 과정에서 난제라고 할 수 있는 검증의 문을 열었다는 결단이라는 평가도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동창리 영구 폐기에 대해 국제사회의 목소리를 들은 듯하다”며 “영구 폐기에 검증까지 하겠다는 점에서 비핵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북한은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비핵화 의지를 밝혔지만 구체적인 협상에 들어가면서 검증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으로선 북한이 이미 폐기한 풍계리 핵실험장과 폐쇄 중인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 대한 검증을 원했으나, 북한은 ‘우리가 알아서 비핵화 조치를 했는데 왜 그걸 검증하느냐’는 태도를 보이다가 이번에 입장을 바꾼 것이다. 실제 북한은 4월 27일 1차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때 외부 전문가와 기자단 수용을 약속하고도 실제 전문가그룹을 빼놓은 바 있다. 송고(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 지난 8월 수출에서 수입을 뺀 일본의 무역수지는 4천446억엔(약 4조4천523억원) 적자로 집계됐다. 일본의 무역수지 적자는 2개월 연속이다. 이는 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유 등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수입액이 수출액을 크게 웃돈데 따른 것이다. 19일 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무역통계 속보치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전년 동월보다 6.6% 증가한 6조6천916억엔이었다. 수출 증가는 21개월 연속이다. 수입액은 전년 동월보다 15.4%나 늘어난 7조1천362억엔에 달했다. 수입 증가도 5개월 연속이다. 국가·지역 별로는 미국에 대한 무역수지 흑자액이 전년 동월보다 14.5% 줄어든 4천558억엔이었다.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2개월 연속 줄었다. 미국 정부에 의해 수입제한 대상으로 지정된 철강의 대미 수출액은 15.8% 감소했다. 재무성은 “수입제한의 영향이 곧바로 반영됐는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밝혔다.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는 휴대전화와 컴퓨터 등의 수입이 늘면서 1천810억엔 적자로 집계됐다. 대중 무역적자는 5개월 연속이다. 유럽연합(EU)에 대한 무역수지도 항공기와 석유 제품 수입이 늘면서 874억엔 적자였다.
송고한민족 정체성 함양하며 네트워크 활성화 모색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재외동포재단(이사장 한우성)이 주최하는 ‘2018 세계한인차세대대회’가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막을 올렸다. 올해로 21회를 맞은 이번 대회에는 24개국에서 80여 명의 한인 차세대 리더들이 참가했다. 이들은 ‘스무 살의 열정으로 세상을 잇다’라는 슬로건 아래 21일까지 서울과 경기도를 오가며 정체성을 함양하고 교류활동을 통해 한민족 네트워크 강화에 나선다. 개회식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 박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석기 자유한국당 의원, 국내 주요 인사 등이 참석했다. 강 장관은 축사를 통해 “제3차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는 중요한 시기에 모국 방문에 참여한 것을 환영하며,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향한 여정에 뜨거운 지지와 성원을 부탁한다”며 “대회 기간 서로의 다양한 생각을 나누고 교류활동을 벌여 미래의 꿈을 다지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터키정부는 최근 리라 방어를 위해 정공법인 금리 인상 대신 이날 발표된 리라 계약 의무화나 외화 예금 세율 인상 등 변칙적 수단을 잇달아 내놨다. 이는 터키정부가 여전히 충분한 금리 인상에 부정적이라는 신호로 해석됐다. 이날 터키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앞서 관영 매체의 전문가 조사에서 기준금리 예상 인상폭은 송고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일 공동연구진이 ㏁(메가옴)급의 높은 영역에서 표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불변의 저항 실현에 새길을 텄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은 전자기표준센터 채동훈 책임연구원팀이 일본 연구진과 함께 ‘양자저항 연결로 만들어진 고저항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는 성질을 최초로 검증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도량형국(BIPM)에서 발행하는 국제 측정과학 분야 권위지 ‘메트롤로지아'(Metrologia) 10월 호에 실릴 예정이다. 1㏁은 100만Ω에 해당하는 전기저항이다. 전기저항은 전류가 물체를 통과하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다. 모든 전자기기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회로 기본 요소로 저항이 들어가야만 한다. 저항을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기준 역할을 하는 게 저항표준이다. 저항값이 실제와 다르면 전류·전압에도 영향을 미쳐 제품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LG유플러스[032640]는 19일부터 GS25 편의점에서 알뜰폰 고객 유치 강화를 위한 유심 서비스 전용매대를 설치한다고 18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전국 3천500여개 매장에서 미디어로그, 에넥스텔레콤, 유니컴즈의 요금제 판매를 지원하고, 연내 1만3천여개 전 GS25 매장으로 전용매대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입점을 계기로 알뜰폰 3개사는 신규 요금제를 포함한 10종의 선·후불 서비스를 선보인다. 유니컴즈는 알뜰폰 브랜드 ‘Mobing’을 통해 선불 요금제 3종을 내놓는다. 데이터 300MB과 음성·문자를 기본으로 제공하는 요금제(기본료 2만5천원), 데이터 11GB에 음성·문자를 기본으로 제공하는 요금제(기본료 5만원), 음성·문자·데이터를 종량 차감형으로 쓰는 요금제(기본료 1만원)이다. 에넥스텔레콤이 운영하는 ‘A모바일’은 기본료 9천900원으로 데이터 2GB, 음성 100분, 문자 50건을 쓸 수 있는 요금제를 낸다. 기본료 7천700원으로 데이터 1GB, 음성 50분, 문자 50건, 기본료 3만9천490원으로는 데이터 11GB, 음성·문자 기본 이용이 가능하다. 제휴카드를 이용하면 월 1만5천원의 요금할인을 받을 수 있다. 미디어로그의 ‘U+알뜰모바일’은 신규 요금제 4종을 출시한다. 모든 요금제는 음성 100분(데이터 3GB 요금제는 150분 제공), 문자 100건을 제공하며 데이터 용량에 따라 이용료가 다르다. 기본료 1만4천300원에 3GB, 1만7천500원에 6GB, 2만2천원에 10GB, 2만7천500원에 15GB를 제공한다. 제휴카드 요금할인은 월 1만7천원까지 받을 수 있다. LG유플러스 신채널영업그룹장 최순종 상무는 “앞으로도 대기업 유통망을 알뜰폰 사업자와 공유해 상생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Honor online at www.hihonor.com or follow us on:(청주=연합뉴스) 이승민 기자 = 충북에서 최근 4년동안 추석 연휴 기간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날은 연휴 첫날인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울산의 곽전(藿田)은 본디 한지(閑地)가 아니라 진공(進供)하는 데 쓰이는 것을 오로지 여기에서 가져가는데….” 조선 숙종실록에 나온 울산 미역과 관련된 구절이다. 여기서 ‘곽전’이란 미역을 따는 곳을 말한다. 또 ‘한지’는 주인이 없는 땅, ‘진공’은 지방의 토산물을 임금이나 상급 관청 등에 바친다는 말이다. 풀이하면 울산 미역이 당시 궁에 오른 진상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인문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22권 울산군 편에도 울산 미역이 임금님 수라상에 올랐다는 대목이 보인다. 이처럼 과거 울산 미역의 품질은 상당히 높이 평가받아 명성이 자자했던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흘러 오늘날 울산은 ‘산업수도’를 표방하고 조선업과 자동차산업 중심지가 됐다. 그러나 산업화 물결 속에서도 울산 앞바다와 함께 살아가는 어민들은 아직도 남아 있다. 특히 울산시 북구의 제전마을을 비롯한 어촌에서는 과거의 명성을 잇는 맛 좋은 미역을 여전히 생산한다.
YEONGTONG-GU, South Korea, September 19, 2018/PRNewswire/ — VVDN today announced continued growth in Asia by establishing office in S. Korea. The expansion is in response to the positive market reception and growing demand in the Asia-Pacific region (APAC) for VVDN’s industry-leading product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capabilities. Recently, VVDN opened its office in Japan and now continuing the expansion spree, it announced its new office space in S. Korea as well, which will be led by Mr. Simon Yoon, an industry veteran with over 25 years of experience.정부, 민간교류 및 대북지원 잠정 보류…”당분간 미뤄져야”(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송고정부, 민간교류 및 대북지원 잠정 보류…”당분간 미뤄져야”(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송고 중장기적 시야에서 항공우주, 제약, 바이오 등 지식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을 키우는 것도 일자리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이들 분야는 고용창출에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미래 일자리를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고부가가치 산업은 여러 경로로 국가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때마침 오늘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빠르면 이런 고부가가치 산업에서 한국은 다른 나라에 뒤처지고 있다. 한국의 GDP 대비 고부가가치 산업의 비중은 2016년 현재 34.6%로 전년보다 1%포인트 떨어졌다. 미국(38.3%), 일본(36.1%), 독일(35.2%)보다 낮다. 중국은 2012년부터 이 분야에서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35.2%로 한국을 추월했다. 일행은 태풍 영향인지 바람이 세게 불고 보슬비까지 내리는 궂은 날씨에 이내 서둘러 단체 기념사진을 찍고는 버스로 발길을 향했다. 전세계에서 온 통일 전문가들이 오늘 접경지역에 와서 남북 분단상황에 대해 강력한 느낌을 받은 것처럼 보였다. 이들의 접경지역 방문이 전세계 해외동포가 한반도 통일을 위해 결집하도록 하는데 보탬이 될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송고아프리카인, 무더위 비교시험서 한국인보다 체온 낮고 땀 분비량도 적어폭염 온열질환 예방하려면 야외활동 후 찬물에 ’10분 반신욕’ 권장(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한반도가 펄펄 끓고 있다. 이런 폭염이 처음이어서인지 요즘 언론 보도에는 ‘최악’, ‘가마솥’, ‘용광로’ 등의 수식어가 늘 따라붙는다. 가장 덥다는 대구는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라는 별칭이 익숙해진 지 이미 오래다. 그렇다면 한낮 온도가 40도를 웃돌 정도로 늘 더운 곳에 사는 아프리카인도 한국인만큼 이번 폭염이 덥게 느껴질까. 이런 비교에 대표적인 지표가 땀과 체온이다. 사람은 보통 더위를 느끼면 상당량의 땀을 흘리게 마련이다. 특히 요즘처럼 주변 온도가 체온(섭씨 36.5도)보다 높아지면 몸에 쌓이는 열을 줄이기 위해 신체는 더 많은 땀을 배출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열대지방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조금 다르다. 다른 대륙의 사람들보다 땀을 덜 흘리고 더 많은 체액을 보존함으로써 열스트레스(heat stress)에 잘 견디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국내 연구팀이 실제 아프리카인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비교 시험한 결과를 보면 흥미롭다. 외부의 우려가 고조된 것과 달리 터키인들은 경제 분야 종사자를 제외하고는 리라 폭락 사태에 동요한다거나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모습이다. 예년보다 물가가 좀 더 올랐다는 불만 정도다. 언론 보도는 빵, 감자, 토마토, 양파 등 기본적인 식품 가격이 치솟을 때 외에는 물가 상승에 큰 비중을 할애하지 않는다. 가격이 대폭 인상되기 전에 수입품을 구입하려는 중산층의 ‘사재기’나 출금 제한을 우려한 현금 수요에 따라 쇼핑몰과 환전소가 평소보다 더 혼잡해진 것을 제외하고는 일상에서 큰 분위기 변화는 보기 힘들다. 일부 터키 언론인은 이달 2일 리라 달러환율이 심리적 저지선인 5리라를 돌파했을 때 주요 신문이 1면에서 이 소식을 다루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제도권 언론이 사태의 심각성을 의도적으로 외면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광주=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한국노총이 광주시 최대 현안인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양대 노총인 민주노총도 광주형 일자리 사업 불참을 선언했던 만큼 현대차 투자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계획은 더 이상 추진하기 어렵게 됐다. 현대차도 노동계 참여 없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어서 투자협상은 사실상 무산됐다.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송고급여 수준 놓고 광주시와 시각차 커…광주시 “아직 검토 중”현대차 “노사민정 합의 안 되면 현실적으로 투자 어려움 예상”
집회를 주도한 필리핀 민중 연합의 아론 페드로사 사무총장은 “한국과 일본, 중국이 수출하는 석탄화력발전소가 필리핀을 비롯한 수입국에서 환경, 건강, 사회적 해악을 끼친다”며 “정부 주도의 석탄발전 수출에 금융기관들이 자금을 빌려줘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기후협정 세부 지침 마련을 위한 이번 협상에서 한국이 국내 석탄 화력발전 사업과 수출 정책을 보호하려 한다”며 “대표적인 ‘더티 에너지'(dirty energy)인 석탄 화력의 악영향이 협상 테이블에도 올라야 한다”고 촉구했다. 석탄을 원료로 쓰는 화력발전은 실제로 여러 발전 유형 가운데 가장 많은 온실가스와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한다. 미세먼지를 늘려 조기 사망자를 발생시키거나 기후 위기를 가속한다는 비판도 받는다. 중국과 일본, 한국은 석탄 화력발전을 자국 내 주요 전력생산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은 물론, 공적 금융기관 등의 융자를 바탕으로 아시아 곳곳에 석탄 화력발전 설비를 수출한다.(서울=연합뉴스) 남북한 두 정상의 표정은 가을 하늘만큼 맑고 밝았다. 정상회담을 위해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뜨거운 포옹으로 재회의 감격을 나눴다. 둘 사이 따뜻하게 흐르는 온기는 TV를 통해 지켜보는 온 국민에게도 전해지는 듯했다. 두 정상은 격의가 없었다. 북미 교착을 풀고 남북관계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내자는 의지와 자신감이 호탕한 웃음과 대화 속에 담겨 있었다. 두 손을 맞잡은 퍼스트레이디 김정숙 여사와 리설주 여사는 한동안 못 본 이웃을 대하는 듯 정이 흘러넘쳤다. 북한 지도자가 부인과 동행해서 외국 정상을 공항에서 맞이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김 위원장이 집권 이후에 공항 영접을 나선 것도 전에 없던 일이다. 한 마디로 파격이었다. 북한 주민들은 한반도기와 인공기를 흔들며 문 대통령 부부를 열렬하게 환영했다. 문 대통령은 자연스럽게 주민들에게 다가가 반갑게 악수하고 손을 흔들어 화답했다. 평양 시내에서 무개차를 탄 두 정상은 연도에 늘어선 평양시민 10만여 명의 환영을 받았다. 68년간 적대관계를 유지해온 사이라고는 믿기지 않은 모습을 두 정상이 보여줬다. ‘남북이 하나’임을 전 세계에 보여준 감동의 순간이었다. 델리대 출신 박사학위 소지자는 현재 동명대가 개설 중인 영어 교과목의 담당 교수로 활동할 수 있도록 했다. 정홍섭 동명대 총장은 “인도 최고 명문 델리대 출신의 기초과학 분야 우수한 교원을 확보할 수 있어 송고(부산=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 동명대는 인도 델리대학교와 교수 초빙과 소규모 창업 인큐베이터를 지원하는 양해각서를 맺었다고 19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동명대는 향후 델리대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자를 동명대 전공교수로 특별채용 추천한다. 또 델리대 졸업생 중 한국과 인도를 연계하는 벤처기업 설립 희망자에게는 동명대가 연구 공간 등을 지원한다. 관심이 쏠렸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직접 메시지는 열병식에서 나오지 않았다. 다만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연설에서도 핵무력 직접 언급은 없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사설에서 ‘최강의 전쟁억제력’을 갖게 됐다고 언급하면서도 핵·미사일 능력이나 미국을 직접 거론하진 않았다. 전반적으로 이번 기념일 행사에 북한이 현 국면에서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를 자극하지 않으려는 신중한 행보를 보였다고 평가한다.경기도 “다른 남북교류협력 사업에도 영향 있을 듯”(의정부=연합뉴스) 김도윤 기자 = 남북 스포츠 교류의 불씨로 기대를 모아 온 국제 유소년( 송고”개혁·개방 강화 필요…위기를 기회로 만들자””미국의 극한 압력은 오판…중국 발전의 서곡일뿐”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 미중간 추가 관세 부과 발표로 무역전쟁이 격화되자 중국 정부가 관영 매체를 동원해 미국을 비난함과 동시에 위기를 기회로 바꾸자면서 단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 발발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대외 과시 정책 때문이라는 내부 비판을 의식해 미국으로 책임으로 돌리고 중국 내 모순 해결을 강조하면서 비난의 시선을 돌리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송고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추석 연휴를 맞아 극장들이 관객 잡기에 나섰다. 송고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추석 연휴를 맞아 극장들이 관객 잡기에 나섰다. 송고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추석 연휴를 맞아 극장들이 관객 잡기에 나섰다. 송고 2009년 프로 데뷔한 오지환은 9년 동안 KBO리그에서 뛰었으나 단 한 번도 국가대표로 선발된 적이 없다. 그런데도 무슨 배짱으로 버티는지, 자신을 뽑아달라는 시위인지 포털 게시판이 뜨거워졌다. 팬들이 화가 난 것은 국민의 의무인 병역을 어떡하든 피해 보려는 오지환의 태도에 실망했기 때문일 것이다. 국가대표 선수들을 직접 선발한 선동열 감독의 행보도 석연찮다. 선동열 감독과 가까운 지인은 “선 감독이 대표선수 선발 하루 전까지 오지환은 뽑지 않겠다고 했는데 왜 마음이 변했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대표선발 회의에 참석한 유지현 LG 트윈스 코치가 선동열 감독에게 ‘오지환 발탁’을 강력하게 요청했는지는 알 수 없다. 설사 그렇더라도 선수 선발의 모든 책임은 결국 감독이 지는 것이다. 선 감독은 대표선수 선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오지환을 백업 유격수로 뽑았다”고 밝혔으나 타격과 수비 성적을 따져보면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높았다.
남주혁은 고민 없이 캐스팅 제의를 받아들였다고 한다. ‘무조건 잘해내겠다. 이겨내겠다’라고 각오를 다졌다고. “일단 제의가 들어온 것 자체가 기뻤죠. 더구나 학교에서 배우던 안시성과 양만춘 장군 이야기를 영화로 만든다고 하니 더 좋았고요. 제가 무척 도전적인 성격이거든요. 무엇이든 도전을 해야 얻는 게 있다고 생각해요.” 영화 속 ‘사물’과 자신이 닮은 면이 많다고도 했다. “본래 사물은 양만춘을 반역자라고 생각했지만 그를 직접 만나고 나서는 생각을 바꾸는 캐릭터에요. 아직 어리니까 쉽게 생각이나 감정이 변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자신이 잘못 알고 있던 부분이 있으면 금방 인정하는 점은 저와 비슷한 것 같아요. 감정이 쉽게 바뀌는 점도 그렇고요.” 작품에 출연한 배우가 아닌 관객으로서 ‘안시성’을 관람한 소감은 ‘정말 멋있다’였다고 한다. 특히, 전쟁 장면에서는 감탄이 절로 나왔다고. 우시 경제정보기술위원회 위원장 Zhou Wendong은 IoT가 우시 경제 발전의 새로운 유전자이자 핵심이 됐다고 언급했다. 앞으로도 IoT는 핵심 기술과 사업 모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영화는 무엇보다 낯선 제목으로 관객의 궁금증을 자아낸다. ‘암수살인’은 암수범죄(暗數犯罪)의 일종으로 실제로 범죄가 발생했지만, 수사기관이 파악하지 못했거나 증거불충분 등의 이유로 공식 범죄통계에 잡히지 않는 범죄를 뜻한다. 연출을 맡은 김태균 감독은 ‘암수살인’을 소재로 2010년 ‘그것이 알고 싶다’가 방영한 김정수 형사의 실화를 재구성해 영화로 옮겼다. 부산지방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 소속 ‘김형민'(김윤석 분) 형사는 살인 혐의로 수감된 살인범 ‘강태오'(주지훈 분)로부터 접견 요청을 받게 된다. 접견 자리에서 태오는 형민에게 자신이 죽인 사람이 모두 7명이라고 자백한다, 태오의 구체적인 진술과 형사의 직감으로 그의 자백이 사실임을 확신하게 된 형민은 태오가 적어준 7개 살인 리스트를 믿고 수사에 들어간다. 그러나 사건을 파헤칠수록 형민은 태오가 거짓과 진실을 교묘히 뒤섞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공소시효는 얼마 남지 않았고 증거는 부족한 상황. 암수사건을 뒤집고 다니는 탓에 동료들마저 형민을 곱게 보지 않는다. 형민은 지방경찰청에서 일선 경찰서로, 다시 말단 파출소로 전출되는 수모를 겪지만 수사를 포기하지 않고, 태오는 그런 형민에게 두뇌 싸움을 걸며 재판을 유리하게 이끌어나가고자 한다.’최고의 예우’로 일정마다 극진한 대접에 파격 환대 (평양·서울=연합뉴스) 평양공동취재단 김연정 기자 = 남북 정상은 평양에서 만난 이틀째인 19일에도 한나절 가까이 일정을 함께 하며 한층 더 돈독해진 모습을 보였다. 전날 평양공항 영접 때 ‘최고의 예우’를 시작으로 문재인 대통령 일정마다 각별히 정성을 쏟았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이날도 오전에 열린 추가 회담을 위해 문 대통령 숙소를 직접 찾는 등 파격적인 대우를 했다. 방북 이틀째인 이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2일차 정상회담을 위해 오전 10시5분께 처음 만나 65분간 대좌했다. 전날 북한 체제의 ‘심장부’라 불리는 노동당 본부청사를 처음 공개하며 회담을 한 데 이어, 이날은 김 위원장이 회담을 위해 문 대통령 숙소인 백화원 영빈관을 직접 찾았다.일제강점기 전국 3대 우시장…한우 갈비 구하기 쉬워화춘옥 갈비가 원조…삼부자 갈비 이후 동수원 시대 열어(수원=연합뉴스) 강영훈 기자 = 경기 수원은 갈비 요리의 본고장으로 불린다. 전국 다른 곳에도 지역의 이름을 붙인 갈빗집들이 존재하지만, ‘수원 갈비’의 명성에는 미치지 못한다.”김위원장 제안하고 문대통령 수용…김정숙 여사 동행, 리설주 여사 미정””文대통령, 우리땅 통해 백두산 가고 싶다고 해…수행원 함께 이동”‘간다·잔다·판다’ 구별 힘든 난청…”노인 4명 중 1명꼴”보청기 착용 후 청력변화 올 수도…귀 질환 잘 살펴야(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 평생 공무원을 하다 정년퇴임을 한 김모(68)씨는 여가를 이용해 시내 곳곳에서 열리는 무료강연을 듣는 게 취미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강연 중 말소리가 선명하지 않고, 시끄러운 곳에서 대화할 때는 상대방이 무슨 말을 했는지 재차 되물어보는 횟수가 늘어났다. 이런 현상은 교회에서 설교를 들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TV를 시청하면서도 가족들로부터 볼륨이 너무 크다는 얘기를 듣기 일쑤였다. 참다못한 김씨는 친구한테 추천받은 고가의 보청기를 구매해 착용했다. 하지만 보청기를 착용한 후 오히려 귀에서 ‘웅웅’거리는 울림이 더욱 심해지고, 이명 증상까지 생겨 요즘은 보청기를 벗고 이비인후과 병원을 찾아 치료 중이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통신원 = 한 해 5천50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맞는 세계적인 금융·무역·관광 도시, 미국 시카고의 25개 주요 호텔이 서비스직 노동자 파업으로 나흘째 정상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시카고 언론에 따르면 북미 호텔·요식업계 종사자들의 노동조합 ‘유나이트 히어'(Unite Here) 로컬1(시카고 대도시권) 주도의 대규모 파업이 지난 7일 이후 나흘 연속 이어지면서 시카고 호텔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시카고 트리뷴은 일부 투숙객의 불만 신고를 인용, “호텔 객실은 지저분하고 체크인은 지연되고 있으며, 일부 호텔은 관리급 직원들이 객실 침대 시트를 교체하는 등 애를 먹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10일부터 15일까지 열리는 ‘국제 공작기계 박람회'(IMTS) 참가차 댈러스에서 시카고를 방문한 크리스천 헐가드는 전날 시내 중심가의 팔머 하우스 힐튼 호텔 체크인을 하는데 무려 8시간이 걸렸다며 “호텔 측이 보상 차원에서 무료 음식과 음료를 제공했으나, 자정 무렵 겨우 방에 들어가보니 청소가 되어있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그는 “투숙객들은 복도에 놓아둔 카트에서 각자 새 수건을 챙겨야 하고, 아침을 먹기 위한 줄도 무척 길었다”며 숙박비로 하루 300달러(약 33만 원)를 내는 호텔에 기대했던 바가 아니라고 말했다. 또다른 투숙객은 “식당에서 음식을 서빙하는 이들도 생전 그 일을 해 본 일이 없는 사람들 같아 보였다”고 말했다. 트리뷴은 이번 주 시카고를 찾은 IMTS 참가자와 관람객 수가 11만4천여 명에 달한다고 전했다. 이 행사에는 한화·두산공작기계·현대위아 등 한국 기업들도 참가했다. 유나이트 히어 로컬1은 시카고 대도시권 호텔의 객실 청소원·도어맨·요리사 등의 노사계약이 지난 8월 말부로 만료된 후 쟁의행위 조정 신청을 하고 지난 7일 파업에 돌입했다. 이번 협상의 주요 쟁점은 건강보험 혜택을 관광 비수기인 겨울철과 일시 해고 기간에도 고르게 제공하는 문제 등이며, 일부 노조원들은 연일 호텔 앞에 모여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경제전문지 ‘시카고 비즈니스’는 이번 파업에 하얏트·힐튼·JW 메리어트·킴튼·웨스틴·쉐라톤 등 25개 주요 호텔 노동자 6천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면서 “노사 협의 진행 중에 노조원들이 호텔별 또는 업종별로 시위를 벌인 일은 있으나, 이렇게 여러 호텔의 전 직종 노조원이 한꺼번에 파업에 나선 것은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카고 센트럴 비즈니스 지구에만 174개 호텔이 있고, 노조에 속한 호텔은 30여 개에 지나지 않지만, 이름이 잘 알려진 대형 호텔들이 일제히 파업 상황이어서 파장이 크다고 부연했다. 이와 관련, 힐튼 호텔 노사담당인 폴 아데스 부사장은 “노조와 신뢰를 기반으로 협상을 진행 중이며, 공정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파업이 언제쯤 종료될 지에 대해서는 노사 양측 모두 “아직 알 수 없다”는 입장이다.